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abstraction
- elif
- sentence embedding
- Transformer
- deep learning
- Python
- Classificaion
- Attention
- neural net
- Self-loop attention
- pytorch
- python practice
- NLP
- XOR
- overfitting
- word2vec
- Set Transformer
- machine learning
- sigmoid
- GNN
- Today
- Total
목록Python (8)
Research Notes

반복문이란? 원하는 명령을 한번만 써놓고 반복문을 실행하는 것이다. 반복문은 while반복문과 for반복문,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. 1. while 반복문 while 반복문은 이런 구조로 사용한다 1. while 조건부분: 2. 수행부분 while문에서의 조건부분에는 결과값으로 불린(True/False) 가 오는 식을 넣어야 하고 수행부분에는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싶은 명령들을 쓰면 된다. 또한 조건부분 다음에 (:) 콜론은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며 그 이후 실행부분은 Tab키 또는 스페이스바 네번으로 들여쓰기를 해주어야 한다. ▶ while 반복문 예시 (같은 문장 세번 출력하기!) i = 1 # 변수 i의 시작값 지정 while i

# name(이름), nationality(국적), phone_number(핸드폰 번호)라는 변수를 만들고, 여러분에게 알맞은 정보들을 지정하세요. # 변수와 문자열 포맷팅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출력되게 하세요. # Hi, my name is XXX. I'm from Korea. # My phone number is 010-1234-5678. name = "Veronica" nationality = "한국" phone_number = "010-8282-3317" print("Hi, my name is %s. I'm from %s.\nMy phone number is %s" %(name, nationality, phone_number)) < Explana..

1. return return? 1. 함수호출을 return을 따르는 값으로 대체 2. 함수 실행을 멈추고 호출이 끝나는 지점부터 진행 ▶ retrun 첫번째 예제 def f(x): return x+1 def g(x): return x*x-1 print(f(2)) # = print(3) print(g(3)) # = print(8) print(f(2)+g(3)) # = print(3+8) 3 8 11 return문은 함수 호출을 return을 따르는 값으로 대체한다. 위의 7번째 줄을 보면, print(f(2))는 f(2)라는 함수를 호출하여 출력하라는 의미이다. 이를 위해 f(x)함수의 body부분인 2번째 줄로 가면 return(x+1) (= x+1)을 출력하라는 의미가 나와있으므로 7번째 줄은 pri..

추상화(Abstraction) 복잡한 기능을 숨기고 주요 기능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개념 추상화의 종류로는 변수, 함수, 객체가 있다. 간단하게 말하자면 변수는 값을 저장하고, 함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. (객체는 이후에 설명) 1. 변수(Variable) 변수란 값을 저장해서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. 변수가 추상화에 속하는 이유는 한 번 변수를 정의하면, 주요기능 외의 값은 알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. →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1) 의미를 보고 이해하기 어렵다 2) 수가 너무 길다 # 변수를 사용하지 않았을때 # 3.1415926535 라는 숫자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. 오타가 날 경우 다른 값이 출력된다. print(3.1415926535 * 2) print(3.1415926535 * 5) ..

※ 불린(Boolean) 불린은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자료형이다. 따라서 가능한 값이 True.False밖에 없으며 가능한 연산자도 AND/OR/NOT밖에 없다. (연산자 사용시에는 소문자로) 또한 불린 자료형을 만들기 위해, 아래의 조건 연산 부호(conditional operator)들이 자주 쓰인다. 연산자 뜻 > 초과 (greater than) = 이상 (greater than or equal to)

Python의 자료형은 여러 종류로 이뤄져있다. ▶ 숫자형 - 정수(Integer) , ex) -1, 0, 2 ... - 소수(Floating Point), ex) 2.0 , -3.5 ... ▶ 문자형 - ex) "hello" , "world" , "2" - ex) "2" + "5" = "25" ▶ 불린 - True와 False만 값으로 가진다. ▶ 리스트, 사전, 튜플 등... 이 있다. 1. 숫자형 연산 부호 (Operators) 연산자 뜻 + 덧셈 (addition) - 뺄셈 (subtraction) * 곱셈 (multiplication) / 나눗셈 (division) % 나머지 (modulo) ** 거듭제곱 (exponentiation) print(2 - 4) # 2 빼기 4 print(5 * 3..

맥OS 환경에 파이썬을 설치하려면 파이썬 + 파이썬 코딩을 할수있는 툴인 PyCharm을 설치해야한다. 1. Python 설치하기 https://www.python.org/downloads/ Download Python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.python.org 이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클릭해서 설치한 뒤 이러한 설치 툴이 나온다면 계속 동의한 후 설치 완료하기! 2. Python 코딩 툴 PyCharm 설치하기 Download PyCharm: Python IDE for Professional Developers by JetBrains www.jetbrains.com Download PyCharm: Python IDE for ..
문제상황: pytorch에서 model을 돌리다가 해당 에러가 뜸 이유: pytorch 이전 버전(0.5)에서 작성된 코드를 돌릴 때 뜨는 에러, pytorch의 데이터 자료 구조가 변경되었다고 함 코드에서 변수명.data[0] --> 변수명.data로 바꾸면 해결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