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abstraction
- pytorch
- XOR
- word2vec
- sentence embedding
- Set Transformer
- machine learning
- deep learning
- NLP
- Self-loop attention
- Attention
- Python
- python practice
- Classificaion
- elif
- GNN
- sigmoid
- overfitting
- neural net
- Transformer
- Today
- Total
목록python practice (7)
Research Notes

# 1988년 쌍문동에 사는 택이는 바둑대회 우승 상금으로 5000만원을 받았습니다. 하지만 바둑 외에는 아는게 없으니, 이웃 어른들에게 이 돈으로 무엇을 해야할지 물어보기로 하였습니다. # 은행에서 근무하는 동일 아저씨는, 은행에 돈을 맡겨서 매년 이자로 12%씩 받는 것을 추천하셨습니다. 1년 후인 1989년에는, 5000만원의 12% 이자인 600만원이 더해져 5600만원이 된다고 하면서요. # 이 이야기를 들은 미란 아주머니는 고작 12%때문에 생돈을 은행에 넣어 놓느냐며, 얼마 전 지어진 매매가 5000만원짜리 은마아파트를 살 것을 추천하셨습니다. # 2016년 현재 은마아파트의 매매가는 11억원입니다. while문과 if문을 사용해 1988년 은행에 5000만원을 넣었을 경우 2016년에..

# 정수 n의 약수는 n을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지는 수입니다. 만약 정수 i가 정수 n의 약수라면, n을 i로 나누었을때 나머지가 0이 나와야 합니다. # 자연수 중 120의 약수를 모두 출력하고, 총 몇개의 약수가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써보세요. # 이와 같이 출력하세요 1 2 3 4 5 6 8 10 12 15 20 24 30 40 60 120 120의 약수는 총 16개입니다. n = 120 i = 1 count = 0 while i

# while문과 if문을 활용하여 100이하의 자연수 중 8의 배수이지만, 12의 배수는 아닌 것을 모두 출력하세요. 실행하면 아래의 내용이 콘솔에 출력되어야 합니다. 8 16 32 40 56 64 80 88 i = 1 while i

# 절대 평가 방식으로 총 점수가 90점 이상이면 A를, 80점 이상 90점 미만이면 B를, 70점 이상 80점 미만이면 C를, 60점 이상 70점 미만이면 D를, 60점 미만이면 F를 부과하는 수업입니다. # 성적이 A일 경우 "You get an A"를, B일 경우 "You get a B"를, C일 경우 "You get a C"를, D일 경우 "You get a D"를, F일 경우 "You fail"을 출력하는 함수를 쓰세요. def print_grade(midterm, final): total = midterm + final if total >= 90 : print("You get an A") elif total >= 80: print("You get a B") elif total >= 70: pr..

# 짝수인지 홀수인지 판단해주는 is_evenly_divisible 함수를 쓰세요. # is_evenly_divisible는 number(수)를 파라미터로 받습니다. # 짝수인 경우에는, 즉 number가 2로 나누어 떨어질 경우에는 True를 리턴해줍니다. # 홀수인 경우에는, 즉 number가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False를 리턴해줍니다. # 함수 안에는 print문을 사용하시면 안 되고, return문을 사용하여야 합니다. def is_evenly_divisible(number): return bool(number % 2 == 0) print(is_evenly_divisible(3)) print(is_evenly_divisible(7)) print(is_evenly_di..

# 거스름돈 계산기 # 현명하게 거스름돈을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드려고 합니다. # 예를 들어 33,000원짜리 물건을 사기 위해 100,000원을 냈다면, # 50,000원 1장, 10,000원 1장, 5,000원 1장, 1,000원 2장과 같이 '가장 적은 수'의 지폐를 거슬러 주는 방식입니다. # payment(지불한 금액)와 cost(가격)라는 파라미터 두개를 필요로 하는 함수 calculate_change를 쓰세요. # 이 함수는 거스름돈을 위해 50,000원짜리와 10,000원짜리, 5,000원짜리, 1,000원짜리가 각각 몇 장 필요한지 출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 # payment, cost 파라미터의 값은 1,000의 배수라고 가정합시다. 출력은 50000원 짜리 지폐 : 1장 100..

# name(이름), nationality(국적), phone_number(핸드폰 번호)라는 변수를 만들고, 여러분에게 알맞은 정보들을 지정하세요. # 변수와 문자열 포맷팅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출력되게 하세요. # Hi, my name is XXX. I'm from Korea. # My phone number is 010-1234-5678. name = "Veronica" nationality = "한국" phone_number = "010-8282-3317" print("Hi, my name is %s. I'm from %s.\nMy phone number is %s" %(name, nationality, phone_number)) < Explan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