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elif
- abstraction
- XOR
- overfitting
- neural net
- pytorch
- machine learning
- python practice
- Transformer
- Python
- Set Transformer
- sigmoid
- Self-loop attention
- deep learning
- sentence embedding
- NLP
- word2vec
- Attention
- Classificaion
- GNN
- Today
- Total
목록variable (2)
Research Notes

1. return return? 1. 함수호출을 return을 따르는 값으로 대체 2. 함수 실행을 멈추고 호출이 끝나는 지점부터 진행 ▶ retrun 첫번째 예제 def f(x): return x+1 def g(x): return x*x-1 print(f(2)) # = print(3) print(g(3)) # = print(8) print(f(2)+g(3)) # = print(3+8) 3 8 11 return문은 함수 호출을 return을 따르는 값으로 대체한다. 위의 7번째 줄을 보면, print(f(2))는 f(2)라는 함수를 호출하여 출력하라는 의미이다. 이를 위해 f(x)함수의 body부분인 2번째 줄로 가면 return(x+1) (= x+1)을 출력하라는 의미가 나와있으므로 7번째 줄은 pri..

추상화(Abstraction) 복잡한 기능을 숨기고 주요 기능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개념 추상화의 종류로는 변수, 함수, 객체가 있다. 간단하게 말하자면 변수는 값을 저장하고, 함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. (객체는 이후에 설명) 1. 변수(Variable) 변수란 값을 저장해서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. 변수가 추상화에 속하는 이유는 한 번 변수를 정의하면, 주요기능 외의 값은 알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. →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1) 의미를 보고 이해하기 어렵다 2) 수가 너무 길다 # 변수를 사용하지 않았을때 # 3.1415926535 라는 숫자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. 오타가 날 경우 다른 값이 출력된다. print(3.1415926535 * 2) print(3.1415926535 * 5) ..